서버관리/AWS 2

AWS 계정 생성 및 서버 구축 (2)

3. 서버 접속 - AWS E2는 아마존 리눅스나 우분투(16.04 이상) 기반인 서버에 한해 브라우저 내에서 EC2 인스턴스 연결이 가능하다. 물론 나중에 다른 FTP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을 포스팅 할 예정이고 이걸 메인으로 쓸 예정이긴 하나... 일단 뭐가 뭔질 알아야 하니 우선은 직접 브라우저 내에 구동해보겠다, *참고: 왜 Filezilla나 putty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하는 걸 권하는가 하면, 브라우저에서 os를 가상화해서 돌리는 것이다 보니 반응이 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쪽이 좀 더 직관적이기도 하고. 그래서 나중에 이것 또한 포스팅 할 예정이니 기다려라. - AWS에 로그인 한 다음 다시 EC2에 클릭한 다음 왼쪽 메뉴에 인스턴스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서버관리/AWS 2021.04.20

AWS 계정 생성 및 서버 구축(1)

클라우드 서버가 대중화되면서 점차 많은 기업들이 이를 애용하고 있다. 직접 서버 컴퓨터를 구매하지 않아도 AWS, GCP, 카페24같은 호스팅 서버들을 대여해 이를 사용함으로 효율적이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는 만큼 이를 한번이라도 경험해보는 것도 좋겠다. 1. 가입 - 뭐 따로 설명할건 없다. 그냥 AWS 홈페이지 접속해서 가입하면 된다. 카드 정보를 입력하니 (만약을 대비해서 쓸)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진행해준다. - 가입하면 약 1년간 프리 티어로 결제없이 사용 가능하며 이후엔 온-디멘드(서버 사용 시간에 따라서) 형식으로 책정이 된다 (EC2 프리 티어인 경우엔 CPU 사용량과 상관없이 서버를 실행시킨 시간을 기준으로 금액이 산정되는 방식이다. 즉 프리티어 기간 중엔 t2.micro기준으로 1년간 ..

서버관리/AWS 2021.04.20